-
- 국내대학 최초 AI(인공지능) 비전전략 선포식 개최
- 국내대학 최초 AI(인공지능) 비전전략 선포식 개최 - 세계 최고수준의 글로벌 AI(인공지능) R&E 선도대학으로 도약 - 인공지능대학원 및 인공지능 연구소 개원식 함께 열려 우리 대학은 11월 12일(화) 오후 3시, 국내대학 중 최초로 세계최고수준의 글로벌 AI(인공지능) R&E 선도대학 육성의지를 밝히는 ‘AI 비전전략 선포식’을 자연과학캠퍼스 삼성학술정보관 오디토리움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지난 3월 설립한 글로벌 AI 핵심인재 양성을 위한 「인공지능 대학원」과 AI 연구의 집적화 클러스터의 중심축인 「인공지능 연구소」에 대한 개원식이 있을 예정이다. 또한, 이공주 대통령 과학기술 보좌관을 비롯하여, 변재일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이화순 경기도 부지사, 이효건 삼성전자 부사장 등이 참여하여 정부와 기업의 AI선도전략과, 대학의 AI비전계획이 서로 맞물리면서 미래시대의 핵심이 될 Strong AI시대를 여는 첫 시도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 대학은 이번 선포식에서는 AI core 전문인력양성을 위하여 인공지능학과, 인공지능연구소, 인공지능교육원, S센타(AI 컴퓨팅인프라)의 4개 기관을 신설하고, 학생들의 AI 역량함양을 위하여 대학과 대학원의 AI 공통 교과목 개설, 교양영역에 AI영역 추가, 비교과 영역확대를 골자로 하는 AI 연구과 교육에 대한 새로운 전략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발표되는 AI비전을 실천하기 위하여 성균관대는 교내 산재된 AI분야 학사조직을 재편하여 학부과정에 ▲인공지능융합전공 ▲데이터사이언스융합전공▲융합소프트웨어연계전공을 두고, 대학원과정에 ▲인공지능학과 ▲인공지능융합학과 ▲데이터사이언스융합학과 ▲빅데이터학과를 설치하는 구조개편을 단행하여 명실공히 세계최고수준의 글로벌 AI인재 양성소로서 면모를 갖출 예정이다. 우리 대학은 AI 연구역량에서도 세계최고 수준을 자랑하고 있다. 2019 英Times 세계대학평가 Computer Science분야 세계 87위, AI코어 전임교원 46명, AI융합 전임교원 100여명, 연구교수 31명, 박사급 전문인력 70명, 삼성전자를 비롯하여 Pascal Institute 등 39개 기업과 AI 산학협력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2018년에는 AI 관련 분야 40건(국제특허 5건)의 특허와 10건의 기술이전 성과를 보이는 등 10건 등 글로벌 AI 연구허브기관으로 도약하고 있다. 신동렬 총장은 “세계최고 수준의 AI 교육프로그램과, 연구역량을 확보하여 글로벌 AI리딩 대학으로 발돋움 하고자 하는 것이 이번 AI 비전전략 선포식의 의미”라며 “미래언어인 AI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이중언어자를 육성하여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고 인류사회에 공헌하는 글로벌 리더가 될 수 있도록 AI 컴퓨팅 인프라와 우수교수확보, 교육과정 개발 등 전분에 걸쳐 아낌없는 투자와 지원을 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성대뉴스 게시판읽기(국내대학 최초 AI(인공지능) 비전전략 선포식 개최) | 성균관대학교 상기 콘텐츠 담당 > 전략기획.홍보팀 ( 02-760-1151)
-
- 작성일 2019-11-13
- 조회수 1330
-
-
-
- 문태섭 교수 연구팀, ICCV 19 논문 채택
- 문태섭 교수 차성민(박사과정) 문태섭 교수 연구팀(M.IN.D Lab, http://mind.skku.edu/)의 논문 1편이 2019년 10월 27일 - 11월 2일 서울에서 열리는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ICCV) 2019에 채택되었다. 2년에 한 번씩 열리는 해당 학술대회는 컴퓨터비전 및 기계학습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최우수 학술대회로 인정받고 있다. 특히, 올해는 지난 2017년 대비 100% 증가한 약 4300여편의 논문이 투고되었고, 최종 논문 채택률은 25.1%를 기록했다. 채택된 논문 “Fully Convolutional Pixel Adaptive Image Denoiser”은 차성민 박사과정 학생이 제 1저자로 수행한 연구로써, 이미지에 가산 노이즈 (additive noise)가 추가된 상황에서 Deep Learning을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여 좋은 평가를 받았다. 가산 노이즈는 디지털 카메라 및 의료 장비에서 사용되는 촬영장치를 이용할 때 촬영 결과물에 추가되는 일반적인 노이즈 형태이고, 이러한 노이즈를 제거하여 원본에 가깝게 만드는 연구는 신호처리 및 기계학습 분야에서 핵심적인 문제로서 오랫동안 연구되어 왔다. 특히, 최근에 Deep Learning을 이용하여 이러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었고, 이 방법들은 기존 방법들의 성능을 크게 뛰어넘는 결과들을 달성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Deep Learning 기반의 디노이징 방법들은 지도 학습에 사용한 데이터셋에 존재하는 동일한 노이즈 혹은 데이터 형태의 분포에는 좋은 디노이징 결과를 보여주지만, 학습 데이터셋에 존재하지 않는 데이터 분포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lack of adaptivity). 이러한 기존 Deep Learning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오염된 이미지와 그 디노이징 결과로만 계산할 수 있는 새로운 추정 손실함수(estimated loss function)을 제시하였고, 이 손실 함수를 target으로 학습할 수 있는 새로운 합성곱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구조를 고안해서, 주어진 이미지에 대해서 적응적으로(adaptively) 학습하며 디노이징을 할 수 있는 FC-AIDE 알고리즘을 고안하였다. 그 결과, 충분히 큰 데이터셋을 이용한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을 통해 FC-AIDE 모델을 먼저 선학습(pre-training)한 뒤, 주어진 이미지에 적응적으로 한 번 더 학습(adaptive fine-tuning)할 경우, 지도학습 과정에서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분포의 이미지들도 성공적으로 디노이징 할 수 있는 결과를 보였고, 다양한 이미지 데이터셋에서 기존 딥러닝 기반 알고리즘들을 모두 넘어서는 성능을 달성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한 이러한 새로운 딥러닝 기반 디노이징 방법론은 향후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 및 발전될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FC-AIDE알고리즘의 뉴럴네트워크 구조] [기존 알고리즘들과의 디노이징 결과 비교]
-
- 작성일 2019-09-20
- 조회수 1555
-
- 이종욱 교수 연구실, 글로벌 핵심인재 양성 지원 사업 선정
- 이종욱 교수 연구실, 글로벌 핵심인재 양성 지원 사업 선정 이종욱 교수 연구실이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주관 글로벌 핵심인재 양성 지원 사업에 선정되었다. 올해 신규 추진된 본 과제는 4차 산업 혁명 ICT 유망 기술 및 선도 기술 분야의 글로벌 고급 인재 육성을 목표로 3개 부처(과기정통부, 산업부, 복지부) 합동으로 5년간 핵심 인재를 육성할 예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과제를 통해 2년간 6명의 대학원생(박사 1명, 석사 5명)이 6개월간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 Dongwon Lee 교수 연구실 해외 파견되어, ‘TriRec: 정확성, 설명가능성 및 시의성을 고려한 추천시스템 개발’을 주제로 협력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된다. 관련 기사: http://www.sanhak.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177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80277 이종욱 | jongwuklee@skku.edu | 데이터마이닝 LAB | http://jongwuklee.weebly.com/
-
- 작성일 2019-07-18
- 조회수 1578
-
-
- 본교, 경기도와 인공지능(AI) 대학원 설립 및 육성을 위한 협약체결
- 본교, 경기도와 인공지능(AI) 대학원 설립 및 육성을 위한 협약체결 지난 3월 15일, 우리대학은 경기도와 “인공지능(AI) 대학원 설립 및 육성을 위한 상호협력 방안 협약”을 체결하였다. 우리대학은 과학기술정통부에서 지원하는 ‘인공지능(AI) 대학원’ 지원사업에 선정되었으며, 10년 간 정부와 경기도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 우리대학은 체결된 협약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분야의 고급 인력을 양성하고, 해당 분야 산업 경쟁력 향상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 경기도와 상호 유기적인 협조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경기도청 신관에서 열린 이날 협약식에는 우리대학 신동렬 총장을 비롯하여 유홍준 인문사회캠퍼스 부총장, 송성진 자연과학캠퍼스 부총장, 추현승 산학협력단장, 이지형 지능정보융합원 부원장, 이준호 정보통신대학장 그리고 이재명 경기도지사, 수원지역 도의원 등이 참석하였다. 신동렬 총장은 “인공지능(AI) 분야는 4차 산업 시대의 핵심 성장 동력”이라며, “우리대학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석박사급 인재를 양성하고 AI 연구의 중심지로 성장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성균관대 인공지능(AI) 대학원에 대한 경기도의 적극적인 행정 및 재정 지원을 통해 경기도 내 관련 산업분야의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링크]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3/all/20190315/94551932/1 한국경제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9031515195231985 서울경제 https://www.sedaily.com/NewsView/1VGM3KCR99 아시아경제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9031515195231985 파이낸셜뉴스 http://www.fnnews.com/news/201903152209390393
-
- 작성일 2019-06-07
- 조회수 1644